세계 민주주의의 발전과 인권 신장을 위한 노력
광주인권상
광주인권상
‘5·18 시민상’과 ‘윤상원상’을 통합하여 그 취지를 계승하고 인권과 통일, 인류의 평화를 위해 지대한 공헌을 한 현존하는 국내외 인사 또는 단체를 발굴하여 시상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널리 선양하고자 2000년에 제정되었습니다. 2011년부터는 광주인권상 특별상을 신규 제정하여 2년마다 인권증진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언론인, 문화예술인, 작가, 기타 이를 지원하고 후원한 인사들에게 시상하고 있습니다. 광주인권상 시상식은 매년 5월 18일에 개최됩니다.
- 시상배경
- ‘5·18 시민상’과 ‘윤상원상’의 제정
‘5·18 시민상’은 5·18유족회에서 5·18의 전국화를 목적으로 1991년 제정한 상입니다. 5·18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한 단체나 개인 중에서 5·18 비관련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매년 5월 18일 추모식에서 시상했습니다. 한편 ‘윤상원상’은 1980년 5월 27일, 도청에서 산화한 항쟁지도부 대변인 윤상원 열사의 추모 사업을 주관해 온 광주지역 인사들과 유가족이 기금을 조성하여 5·18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단체나 개인을 선정하여 시상했습니다. ‘5·18 시민상’과 ‘윤상원상’은 수상자를 국제적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그 위상을 높이고자 1998년 5·18기념재단에 이관하게 되었습니다. - ‘통합 논의와 광주인권상 제정
1999년 8월, 5·18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각종 상을 통합하여 그 위상을 제고해야 한다는 취지에 따라 ‘5·18시민상’, ‘윤상원상’, ‘박관현상’, ‘5월정의상’ 등의 시상 주체들이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그 결과 ‘5·18시민상’과 ‘윤상원상’을 통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18기념재단은 2000년도 제1차 이사회에서 ‘광주인권상’과 관련한 명칭과 시상규정을 확정하여 첫 시상사업을 시작했습니다.
- ‘5·18 시민상’과 ‘윤상원상’의 제정
- 관련 규정
현황 전체 : 0건 (1 / 1 page)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 |
---|---|---|---|---|
목록이 없습니다. |
광주인권상 역대 수상자 (공동수상자, 특별상 포함)
2023 | 초우항텅 - 홍콩 |
- 인권변호사로서 인권옹호자에 대한 정부의 부당하고 불공정한 대우에 끊임없이 저항해옴 - 1989년 천안문사건 희생자 추모 촛불집회를 주최하며 홍콩 민주주의 투쟁을 이어옴 |
---|---|---|
(특별상) 이란교사노동조합위원회 - 이란 |
-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교육을 통해 이란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헌신해옴 - 양질의 공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 보수적 교육정책 변화, 교육 공간의 개선, 교사 생활여건의 개선, 이란내 여러 민족 언어와 문학을 가르칠 권리 등을 수호하기 위해 계속되는 탄압에 맞서 싸우며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펼침 |
|
2022 | 신시아 마웅 - 미얀마 |
- 8888민중항쟁에 참여했고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미얀마 국경에 위치한 매솟 지역으로 이주하여 89년 매타오 병원 설립 -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국경지역의 난민들을 위한 의료지원 및 기초 보건 서비스, 의료 훈련, 교육과 아동 보호서비스를 제공해옴 - 태국~미얀마 국경 지역 시민 사회단체의 구심점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미얀마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난민에 대한 지원을 해오고 있음 |
2021 | 아논남파 - 태국 |
- 인권변호사로서 군사법정에 회부된 사람들을 위해 무료 법률지원활동을 해오고 있음 - 2014년 권위주의적 정권에 대항하고 인권침해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기 위해'저항하는 시민'이라는 반독재 민주화운동 단체 공동 창립 - 2020년 7월 대규모 시위에서 군주제 개혁을 요구하는 연설을 통해 태국 민주화운동의 불씨를 붙임 |
(특별상)워치독다큐멘터리메이커 - 인도네시아 |
- 2009년 설립한 이후 민주화운동 관련 다큐멘터리 제작 - 200편이상의 다큐멘터리 시리즈와 700편 이상의 TV시리지를 제작하여 인도네시아의 인권문제를 부각시켜 인권증진에 크게 기여함 |
|
2020 | 벳조 운퉁 - 인도네시아 |
- 독재정권에 의한 투옥과 신변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1965년~66년 인도네시아 대학살의 진실을 규명하고 국제사회에 이를 알리는 활동 전개 |
2019 | 조안나 까리뇨 - 필리핀 |
- 필리핀 마르코스 독재시절 대학교수라는 안정된 신분을 버리고 민주주의와 원주민 권익증진을 위해 일평생을 활동 - 민주주의 투쟁으로 인해 구속된 사람들의 모임인 코렐라민중연합(CPA)설립 - 원주민 권익증진을 위한 자결권을 위한 모로족 원주민 연대(SANDUGO) 출범 - 현재까지도 정부기관의 지속적인 신변위협에도 활발한 활동 |
(특별상)디알리타 합창단 - 인도네시아 |
- 인도네시아 반공대학살 피해자와 희생자 가족들로 구성된 여성 합창단 - 합창단 활동을 통해 비극적인 인도네시아 과거사를 공개적인 장으로 이끌어내 화해와 치유를 위해 활동 - 인도네시아를 넘어 노래를 통해 세계인들에게 평화와 연대의 메시지를 전달 |
|
2018 | 난다나 마나퉁가 신부 - 스리랑카 |
- 스리랑카의 고문, 강제실종 등과 같은 국가폭력 희생자들의 편에서 투쟁 - 인권활동을 통해 스리랑카 사법부 개혁운동, 인권을 위한 성직자 네트워크 확대, 정의를 위한 연합 태동 등 스리랑카 인권지평 네트워크 확대에 기여 |
2017 | 자투팟 분팟타라락사 - 태국 |
- 2015년부터 독재정권에 의한 인권유린, 수많은 협박과 구금·투옥에도 굴복하지 않고 반군부 학생운동을 주도. - 민주인권운동에 투신한 자투팟의 활동은 국경을 넘어 많은 인권운동가들과 민주사회를 염원하는 시민들에게 큰 영감 - 2016년 12월 체포돼 2017년 2월 왕실모독금지법과 컴퓨터범죄법 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 |
(특별상)세르지 밤바라 - 부르키나 파소 |
- 음악을 통해 아프리카 전 지역 사회변혁운동에 참여와 변화를 이끔 - 동료 아티스트들과 함께 시민의 빗자루(Citizen’s Broom)라는 단체를 만들어 사회운동에 참여. |
|
2016 | 누옌 단 쿠에 - 베트남 |
- 빈곤층의 건강을 외면하고 공산당원만을 선택적으로 대우하는 베트남 정부의 관행에 맞서면서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한 투쟁 - 1994년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을 수상 |
BERSIH 2.0 - 말레이시아 |
- 말레이시아 시민단체 - BERSIH 2.0는 말레이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선거 개혁의 기치를 내걸었으며, 이를 위해 8개 요구 사항을 포함한 국가적 개혁의제를 제시 - 선거 부정 문제를 말레이시아 정치권에 부각 및 문화적, 종교적, 민족적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활동 - 대규모 집회를 조직하여 젊은 층의 인권에 대한 인식을 촉발시킴 |
|
2015 | 라띠파 아눔 실레가르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의 분쟁지역인 웨스트파푸아에서 평화운동을 펼치고 있는 인권변호사 |
특별상 솜바스 솜폰 - 라오스 |
- 농업과학자이자 공동체 운동가 - 2005년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하고 농촌 빈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 - 2012년 12월 15일 라오스 한 경찰서 앞에서 실종됐으면 현재까지 행방불명 |
|
2014 | 하바란의 어머니들 - 이란 |
1988년 이란 당국에 의해 대규모의 반인권적 처형이 발생했을 때 가족을 잃은 사람 들이 하바란 공동묘지에 모여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결성, 이란 당국의 무대응에도 불 구하고 어머니들의 지속적인 진실 규명요구는 반체제인사의 처형과 정부 관련성 규 명, 인권활동가들의 활동 영역 확대, 재판 절차 개선 등의 변화를 이끌어냄 |
아딜루 라흐만 칸 - 방글라데시 |
- 방글라데시의 헌정수호와 인권법 제정, 인권 옹호에 투신 - 인권단체인 오디카(Odhikar)를 설립하고 인권 옹호와 증진에 헌신 - 방글라데시를 넘어 사법 절차에 의하지 않은 사형 집행, 강제실종, 법 집행기관에 의한 고문 등 남아시아 지역의 인권 유린에 반대하는 선도적인 역할과 ‘고문·처벌 면제 반대 남아시아 국가 간 네트워크’ 등 국내외 연대활동 |
|
2013 | H.I.J.O.S - 아르헨티나 |
정치적인 이유로 실종되거나 처형되거나 투옥된 사람들, 또는 1976~1983년 군부독 재시절의 억압을 피해 망명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자녀들과 자신의 목적과 정치적 실천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본 단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청년들로 구성됨 |
특별상 주간지 ‘뗌뽀’(Tempo) - 인도네시아 |
- 인도네시아의 정치 및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주간지로 1971년 3월 6일 최초 발행 - 수하르토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하모코 정보 장관이“정국 안정에 위협”이 된다며 오랜 기간 발행 금지 -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고 존경 받는 매거진으로 자리매김 |
|
2012 | 문정현 - 대한민국 |
길 위의 신부’로 불리는 가톨릭 사제. 한 평생을 가장 낮은 자리에서 억압받고 소외 되어 있는 사람들의 편에 서서 이들과 함께 고통을 나누고 희망을 만들어옴 |
2011 | 비냐약 센 - 인도 |
- 인권유린으로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 하며 부당한 국가폭력에 저항하다 인도당국의 특별보안법에 의해 2007년 5월 투옥 -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는 반란 선동죄로 종신형을 받고 복역 중 이던 그를 양심수로 선정, 2011년 4월 18일 보석으로 석방 |
특별상 평화를 위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유가족협회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을 통해 가족을 잃은 500여 유가족이 1995년에 함께 설 립한 단체 - 유가족들이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평화로 가는 하나의 중요 한 과정으로 보고, 이와 관련한 여러 인권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 |
|
2010 | 수실 파큐렐 - 네팔 |
- 네팔 절대왕정의 비민주적이고 폭압적인 통치에 맞서 싸우는 한편 분쟁의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 - 네팔 민중의 인권증진을 위해 시민인권지원센터(INSEC)를 조직 -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에는 네팔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맡아서 네팔 민중의 인권신장을 위해 헌신 |
2009 | 민 꼬 나잉 - 버마(미얀마) |
- 1987년 비합법적인 군정에 맞서 싸우고자 세운 버마학생조합동맹(All Burma Federation of Student Union)의 의장으로 활동하며 1988년 8월 8일의 8888항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함 - 비폭력과 평화적 투쟁을 강조하던 그는 2007년 샤프란 항쟁으로 이어진 결정적인 시위행진을 조직한 혐의로 65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가 2012년 1월 석방됨 |
2008 | 무니르 말리크 - 파키스탄 |
- 1981년 반정부 활동 혐의로 투옥 - 2007년에는 무샤라프 대통령의 대법원장 축출시도에 맞서 사법부의 독립과 인권 수 호를 위해 투쟁 - 무장 괴한의 공격과 사무실 봉쇄, 혹독한 수형생활 등에도 굴하지 않고 파키스탄 사 법권의 독립과 언론자유를 위해 계속 투쟁 |
2007 | 이롬 샤밀라 차누 - 인도 |
- 민간인에 대한 군사특별권한법의 무분별한 사용에 반대하여 2000년 11월 2일부터 단 식농성 시작 - 인도정부는 그녀를 법에 따라 ‘자살기도’ 혐의로 체포하고 강제급식 후 석방, 다시 관련법 위반으로 체포를 반복함 |
레닌 라구와니쉬 - 인도 |
- 인도 내 5개의 북부 주에서 고문 희생자들에 대한 지원과 교육센터를 운영하여 수많은 어린이들을 교육 - 인도의 카스트 제도로 인해 인권침해를 입고 있는 불가족천민들에게 희망을 가져다줌 |
|
2006 | 앙까나 닐라빠이짓 - 태국 |
- 2003년 태국경찰에 의해 강제 실종된 인권변호사 솜차이 닐라빠이짓의 부인 - 잦은 살해협박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하여 결국 관련 경찰을 처 벌받도록 함 - 인권운동가로 변신하여 국가폭력 희생자들을 위한 진실규명과 재발방지 활동을 진행 |
말라라이 조야 - 아프가니스탄 |
- 24세에 지역민의 지지를 통해 제헌의회 의원으로 선출 - 국가재건에 앞장, 자국의 문제점을 대중 연설을 통해 신랄하게 지적한 용기 있는 행 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음. 이 연설로 인해 수차례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하였지만 뜻을 굽히지 않고 지금까지 활발한 활동을 해 오고 있음 |
|
2005 | 와르다 하피즈 - 인도네시아 |
- 1997년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도시빈민협의회(UPC)를 조직하여 도시빈민 의 권리 보장과 그들을 위한 사회정책 수립에 참여 - 무슬림 여성운동의 지도자로서 남녀평등운동을 이끌었으며, 수많은 인권변호사를 조직하여 불의에 저항하는 운동을 만들어냄 |
2004 | 아웅산 수치 - 미얀마 2018.12.17. 수상철회 |
- 2015년 이후 미얀마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아웅산 수치가 로힝야에 대한 인권유린과 비인도적인 방관하였음. - 2018.12.17. 민주주의와 인권을 기치로 하는 광주인권상의 제정 취지를 심각하게 훼손한 아웅산 수치의 광주인권상을 철회 결정 수상철회 보도자료 |
2003 | 단데니야 자얀티 - 스리랑카 |
- 노동자의 공정한 처우를 요구하다 실종, 피살된 약혼자의 진상 조사를 위해 부당한 권력에 투쟁 - 1991년부터 실종자를 위한 기념식을 주최하고 여성노동자연대와 실종자 기념회, 자 유무역지구 노동조합 결성에 앞장섰으며 스리랑카의 국가폭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등 자국 민주주의 신장에 크게 기여함 |
2002 |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 대한민국 |
- 군사 독재정권 시절 한국 민주화와 민중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다 희생된 분들과 의문 의 죽임을 당한 분들의 유가족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