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EYE

자료마당

조사개요

조사목적

  •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시키고자 국가와 지역에 민주, 인권, 평화 관련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음.
  • 5·18민주화운동의 인식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음.

조사설계

  • 조사 대상 :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중·고등학교(1~3학년)
  • 표본수 : 2,000표본
  • 표본할당 : 지역, 학교급(계열 포함)을 고려한 비례할당 ※. 계열은 고등학생에 한해 일반계고와 전문계고(특수목적고 포함)로 구분함.
  • 표본추출방법 : KESS(교육통계서비스)의 2020년 유초중등 및 고등교육기관 주소록을 통한 계통 추출
  •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
  • 조사기간 : 2020년 9월 18일 ~ 2020년 11월 6일
  • 자료처리방법 : 통계 분석 전문프로그램 SPSS(Statistics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에 의해 분석
  • 표본오차 : 95%신뢰수준에서 ±2.19%p

5·18 청소년 인식지수

  • 2020년 ‘5·18 청소년인식지수’는 67.0점으로 2019년(73.2점)에 비해 6.2점 하락함.
  • 5·18 청소년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 중 ‘5·18 이미지’가 76.2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5·18 기여도(68.1점)’, ‘5·18 인지도(61.4점)’ 순으로 조사됨.
  • 청소년인식지수를 구성하는 항목인 ‘5·18 인지도’는 전년 대비 0.9점 상승, ‘5·18 기여도’는 11.1점 하락, 5·18 이미지’는 10.3점 하락함.
  • ※. 5·18 인지도 구성항목 변경. 비교 시 해석에 유의 필요.
(Base=5·18민주화운동 인지자, 단위 : 점)

5·18 인지도

  • 2020년 ‘5·18 인지도’는 61.4점으로 2019년(60.5점)에 비해 0.9점 상승함.
  • 5·18 인지도를 구성하는 항목 중 ‘5·18국가기념일 지정’이 66.4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전두환, 노태우 처벌 사실(63.3점)’, ‘국립5·18민주묘지조성(54.3점)’ 순으로 조사됨.
  • 5·18 인지도를 구성하는 항목인 ‘5·18국가기념일 지정’은 전년 대비 1.5점 상승, ‘국립5·18민주묘지 조성’은 0.5점 상승함.
(Base=5·18민주화운동 인지자, 단위 : 점)

5·18 기여도

  • 2020년 ‘5·18 기여도’는 68.1점으로 2019년(79.2점)에 비해 11.1점 하락함.
  • 5·18 기여도를 구성하는 항목 중 ‘한국의 민주화’가 72.9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한국의 인권신장(69.4점)’,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62.0점)’ 순으로 조사됨.
  • 5·18 기여도를 구성하는 항목인 ‘한국의 민주화’는 전년 대비 12.4점 하락, ‘한국의 인권신장’은 11.1점 하락,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는 9.9점 하락함.
(Base=5·18민주화운동 인지자, 단위 : 점)

5·18 이미지

  • 2020년 ‘5·18 이미지’는 76.2점으로 2019년(86.5점)에 비해 10.3점 하락함.
  • 5·18 이미지를 구성하는 항목 중 ‘대한민국의 대표적 민주주의 역사’가 77.2점, ‘부당 국가폭력에 대한 의로운 항거 운동’이 75.3점으로 나타남.
  • 5·18 이미지를 구성하는 항목인 ‘부당 국가폭력에 대한 의로운 항거 운동’은 전년 대비 11.0점 하락, ‘대한민국의 대표적 민주주의 역사’는 9.6점 하락함.
(Base=5·18민주화운동 인지자, 단위 : 점)

5·18 인식 수준 변화 여부

  • 과거에 비해 5·18민주화운동 ‘긍정적 이미지가 강해졌다’는 응답은 42.5%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식에 차이가 별로 없다(54.5%)’,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강해졌다(3.0%)’ 순으로 나타남.
(Base=5·18민주화운동을 인지한 학생, 단위 : 점)
  • 학교급별로 중학교(45.9%)에서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강해졌다’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사회·정치 문제 관심도 및 소식 접촉 빈도가 높을수록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강해졌다’응답이 높은 경향을 보임.
  • 사회·정치에 대한 입장이 진보(47.7%)인 학생이 중도(38.9%), 보수(41.4%)인 학생에 비해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강해졌다’ 응답이 높게 나타남.

5·18 인식 수준 변화의 이유

5·18 인식 수준이 높아진 이유

구분 응답 수(건)
5·18민주화
운동의 의의
인지
(391건)
민주화를 위한 국민의 노력 44
5·18 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의 발판이 된 역사라고 생각 44
5·18민주화운동으로 민주주의가 실현됨 41
숭고한 희생으로 이룬 민주주의이기 때문 37
바른 역사 인식으로 인해 인지 35
민주주의 실현한 운동이기 때문 31
군사정권에 맞선 투쟁으로 민주화를 이뤄냄 27
민주화 운동이기 때문 24
민주화를 위해 노력하는 대한민국 국민이 자랑스러움 18
원래부터 긍정적으로 생각 13
5·18민주화운동은 국민의 힘을 보여줬다고 생각 12
5·18 민주화운동은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 12
시민들의 민주 사회에 관심이 높아짐 12
광주시민의 희생과 민주정신을 고찰 10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적 열망 10
아픈 역사라고 생각 8
똘똘 뭉치는 민족주의 영향 6
5·18 민주화운동으로 인한 근대 역사에 대한 관심 높아짐 2
5·18 민주화운동의 국제적 평가 및 위상 2
광주시민으로서의 자부심 1
5·18 민주화운동은 학생들의 주도로 한 것에 의의가 있음 1
애국심이 보이는 운동임 1
5·18민주화
정보접촉
(204건)
올바른 교육의 영향 107
다양한 미디어(영화, 뉴스 등) 노출 87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정보 획득이 쉬워짐 3
주변인들의 영향 3
5·18 민주화운동을 겪은 분들과의 대화 2
책을 통한 역사 공부 2
정부의 노력
(2건)
문재인 대통령이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높임 1
문재인 대통령의 민주적인 정치 실현 1
기타
(16건)
이번 설문조사로 인해 재조명 15
최근 정부의 정책이 시민들을 괴롭히기 때문 1
(Base=5·18 인식 수준이 높아진 학생, 단위 : 건)

5·18 인식 수준이 낮아진 이유

구분 응답 수(건)
5·18
정보접촉
(6건)
거짓 기사라고 생각함 2
영화를 통해 역사를 알게 됨 2
주변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음 1
영화의(미디어) 폭력적인 장면이 떠오르기 때문 1
부정적 운동으로
인식
(21건)
무차별 폭력이라고 생각 14
아직도 폭력에 가담한 사람들이 제대로 처벌받지 못했기 때문 4
5·18 민주화운동의 평가가 편향되었다고 생각 2
5·18민주화운동 이후 국가에 대한 불신 1
안타까운
운동으로 인식
(3건)
민주화를 이뤘지만 아픈 역사라고 생각 2
광주시민의 희생 1
정부의 노력
(16건)
진실과 거짓을 판단하기 힘듦 1
민주화 운동인지 의심됨 1
기타
(4건)
5·18 민주화운동으로 지나친 특혜를 받은 사람이 있는 것 같음 1
5·18 민주화운동의 홍보가 사상 교육으로 느껴짐 1
정치적 논쟁이라고 생각함 1
왜곡된 역사 교육 때문 1
(Base=5·18 인식 수준이 낮아진 학생, 단위 : 건)

5·18민주화운동 인지 여부

  •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있는 학생은 85.7(아주 잘 알고 있다 10.1%+대체로 알고 있다 41.3%+보통이다 34.3%)로 나타남. (미인지 14.3% : 잘 모른다 11.3%+전혀 모른다 3.0%)
(Base=전체, n=2,000, 단위 : %)
  •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일반고등학교(89.1%)에서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음.
  • 성별로 남성(86.4%)이 여성(84.8%)에 비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이 비교적 높음.
  • 거주 지역별로 광주/전라(93.2%)에서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고, 대구/경북(83.1%)은 가장 낮게 나타남.
(Base=전체, n=2,000, 단위 : %)

5·18민주화운동의 접촉 빈도 및 경로

  • 최근 1년간 5·18민주화운동 관련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87.0%(자주 접한 적이 없다 17.8%+한 두 번 접했다 69.2%)로 나타남. (전혀 접한 적이 없다 13.0%)
  •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정보를 주로 접한 매체는 1순위 응답 기준 ‘TV’가 31.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교과서(23.5%)’, ‘유튜브(13.8%)’ 등의 순으로 나타남.
  • 1+2순위 응답 기준으로도 ‘TV’ 응답이 48.2%로 가장 높음.
(Base=5·18민주화운동을 인지한 학생, n=1,714, 단위 : %)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