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10주년 기념 학술대회(11.10.수~11.목) | |
글쓴이 : 5·18기념재단 작성일 : 2021-11-04 조회 : 392 | |
5·18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5·18세계기록유산 가치와 미래 / 기록의 역사, 오월을 말하다
(1일차) 5·18세계기록유산 가치와 미래 개회사: 김정주(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관장권한대행) 환영사: 정동년(5·18기념재단 이사장) 축사: 송천태(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장) 축사: 최정기(전남대학교 5·18연구소장) 5·18기록물의 위상과 보존 - 사회: 최정기(전남대학교 5·18연구소장) 1. 5·18기록물의 위상과 가치창조 구상 발표: 김재순(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 토론: 이명규(전남대학교 교수) 2. 세계인권기록으로서 5·18기록의 보존방향 발표: 김익한(명지대학교 교수) 토론: 윤은하(전북대학교 교수)
기록유산 등재 재조명 - 최협(전남대학교 명예교수) 1. 5·18 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정 재조명 발표: 안종철(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부위원장) 토론: 이영진(강원대학교 교수) 2. 동아시아 민주인권기록유산현황, 쟁점, 과제 발표: 이상민(세계기록회의 동아시아지부 사무총장) 토론: 전용호(광주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지도위원, 작가)
(2일차) 기록의 역사, 오월을 말하다
(특강) 5·18에 대한 몇가지 단상 - 김상윤(윤상원기념사업회 고문)
기록의 역사, 오월을 말하다 - 사회: 조진태(5·18기념재단 상임이사) 1. 역사, 사진과 만나다(5·18 사진자료를 중심으로) 발표: 노영기(조선대학교 교수) 토론: 장제근(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 학예연구사) 2. 5·18 저항세력 기록물의 현황과 의미 발표: 김태종(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관) 토론: 임선화(광주교육대학교 교수) 3. 정웅 자필메모를 통해 본 5·18항쟁과 군부의 대응 발표: 김형주(전남대학교 5·18연구소 교수) 토론: 안길정(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관)
세계 오월을 기록하다 - 사회: 김성(국방부 5·18특위 부위원장) 1. 광주항쟁과 초국적 후원 네트워크 발표: 최용주(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1과장) 토론: 이재의(5·18기념재단 비상임위원) 2. 5·18관련 한미외교문서 기록자료 내용과 의미 발표: 김재형(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 토론: 한기용(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팀장) 3. 5·18항쟁기 재일한인사회 언론과 문제인식 발표: 임영언(조선대학교 국제문화학부 교수) 토론: 김인덕(청암대학교 제잉ㄹ코리아연구소 소장)
문의: 5·18민주화운동기록관 https://www.518archives.go.kr/
|
|
첨부파일 | 첨부파일 없음 |
---|
이전글 | 5·18 41주년 기념 학술대회 “5·18과 도청” (11.12.금) |
---|---|
다음글 | 5·18민주화운동 참여 청소년 구술 용역 선정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