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록물 보존
연구소는 ● 5·18 관련 기록과 5·18 기념사업을 통해 생산·접수·수집한 기록물의 체
계적 보존과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시스템구축, ● 목록 등록, ● 기록물 정리·기술, 보존 등 기록물보존과 관리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개발·구축 및 전문 인력확보를 통해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관리의 중심기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록물 보존·관리 현황
기록물 보존·관리 현황
2019 |
소장 기록물 전수조사 실시 |
|
2017 |
5·18일지 특성화DB 구축 작업: 진행 중(연속) |
|
2015 |
5·18기념사업자료 DB화 작업: 진행 중(연속) |
|
2013 |
주요 기록물 건 목록 작업 5·18수사기록, 당시 사망자 검시조서, 5·18민주화운동 자료총서, 기무사보관자료: 진행 중(연속), 구술기록: 진행 중(연속) |
25,000여건 |
2012 |
소장기록물 정리 및 목록 작업 |
29,510철 |
사업내용
- 생산·수집 기록물 이관 및 관리·보존
- 전년도 기념사업 과정에서 생산·수집된 기록물을 이관하여 관리보존 함으로써 5·18관련 연구, 왜곡대응, 기념사업 등 이 후 업무 활용
- 2019년 소장 기록물 전수조사 실시
소장기록물 분류체계 개발 및 기록물정리
- 재단 소장 기록물에 대한 분류체계에 따른 기록물정리를 통한 체계적인 기록물의 관리 보존
- 2016년 소장 기록물 정리
- 3개 기록물군으로 나누어 분류체계 개발 (5·18사료, 기념사업, 근현대사)
- 분류체계별 서고정리 및 중복 기록물 처리
- 2019년 비전자 기록물 전수조사 및 정리
- 해당 사업을 통해 현황 파악 및 체계적 정리를 도모하고 향후 기록정리 업무 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서의 역할 기대
- 행정문서 전수조사, 목록작성, 분류 및 정리, 보존기간 책정, 보존상자 편성 및 배가, 위치정보 등록 및 라벨링 등 작업 진행 완료
5·18 사료 분야별 DB작업
- 5·18기록물의 분야별 DB작업을 통해 진실조사 및 왜곡대응 연구 기초자료로써 활용 및 열람 효율성 증대
- 검수조서, 수사 및 재판, 구술, 청문회, 진료 등 분야별 DB작업 진행
- 2013년 : 검수조서, 자료총서(1~55권)
- 2014년 : 구술기록(1999년~2009년)
- 2015년 : 5·18수사기록
- 2016년 : 구술기록(2010년~2015년)
- 2017년~ : 5·18일지기록 진행 중, 재판기록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