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시민사회 교류공간의 지속적인 제공을 통해 5·18정신의 확산과 함께 대표적인 민주·인권·평화 도시로서 위상을 실현합니다.
2021 | 광주민주포럼 | 53개국 304명 참가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 |
주제: 코로나 이후 글로컬 민주주의의 오늘과 내일 |
---|---|---|---|
2020 | 광주아시아포럼 | 20개국 249명 참가 (Ⅰ, Ⅱ 2회 진행) |
주제: 아시아 정의와 평화를 위한 연대 |
2019 | 광주아시아포럼 | 25개국 450명 | 주제:학살,난민-국가 폭력과 국가의 보호 책임 |
2018 | 광주아시아포럼 | 22개국 400명 | 주제:지금 실천할때(Time to Implement) |
2017 | 광주아시아포럼 | 20개국 350명 | 주제: 저항하라! 1980광주에서 2017 촛불로 |
2016 | 광주아시아포럼 | 25개국 350명 | 주제: 국가폭력과 역사왜곡 |
2015 | 광주아시아포럼 | 해외참가자 120명 | 주제: 사회 정의를 위한 연대 |
2014 | 광주아시아포럼 | 25개국 300명 | 주제: 민주주의 실현과 정의회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책임 |
2013 | 세계인권도시포럼·광주아시아포럼 | 40개국 528명 | 주제: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인권도시 : 인권도시를 위한 이행지침들 |
2012 | 광주아시아포럼 | 25개국 300명 | 주제: 정의로운 변화를 향하여 |
2011 | 2011국제인권도시네트워크·광주아시아포럼 | 25개국 400명 | 주제: 도시로부터 시작하는 지구적 인권실현(Globalizing Human Rights from Below) |
2010 | 광주아시아포럼 | 25개국 400명 | 주제: 아시아의 어제, 오늘, 미래 |
2009 | 광주국제평화포럼 | 25개국 300명 | 주제: 함께하는 인권, 함께하는 민주주의 |
2008 | 광주국제평화포럼 | 21개국 188명 | |
2007 | 2회 아시아인권포럼 | 14개국 200명 | 주제: 아시아의 민주화 |
광주국제평화포럼·동아시아인권포럼 | 19개국 135명 | 동아시아인권포럼(포럼아시아 주관)·아시아민주화운동광주네트워크 회의(재단 주관) | |
2006 | 광주국제평화캠프 | 15개국 120명 | 주제: 아시아의 분쟁과 NGO의 평화만들기 |
2005 | 광주국제평화캠프 | 10개국 100명 | 주제: 전쟁 · 국가폭력 · 개발과 인권 |
아시아문화심포지엄 (문화관광부 보조) | 12개국 300명 | 주제: 세계화시대, 아시아를 다시 생각한다 : 근대성과 삶의 양식 | |
2004 | 광주국제평화캠프 | 15개국 250명 | 아시아인권위원회 주관 ‘아시아인권학교’ |
2003 | 아시아 민주희생자가족·광주초청행사 | 5개국 8명 | |
2002 | 아시아 민주희생자가족·광주네트워크 | 3개국 7명 | |
2001 | 아시아 민주희생자연대·네트워크 행사 | 4개국 7명 | |
2000 | 제4회 동아시아 평화·인권 광주대회 | 3개국 200명 | 주제: 동아시아 평화 · 인권선언 |
아시아 민주희생자 가족연대 준비 모임 | 8개국 32명 | 국가폭력 실종자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 초안의 집행촉구 성명서 채택 | |
1999 | 동아시아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 단체 초청 연대 모임 | 7개국 11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