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ring Down Rights: Governments Exploiting the Covid-19 Crisis
Phil Robertson
Deputy Director, Asia Division, Human Rights Watch
It is certainly a great honor to be joining you today to discuss this very serious topic of the growth of militarism and authoritarianism in the midst of the global Covid-19 pandemic. I want to briefly mention that in the 1980’s -- when Human Rights Watch was still composed of various regional committees and we were known as Asia Watch -- some of the first work we did in the Asia-Pacific region was focused on South Korea. At that time, we sent researchers to South Korea for months at a time to document rights abuses in South Korea by dictatorial, army backed governments trying to suppress the democracy protests of the Korean people that ultimately chased Generals Chun Doo-Hwan and Roh Tae-Woo from power. So, I just want to say that we salute the work you are doing to honor the memory of those who lost their lives at Gwangju, and the others who sacrificed in the struggles to create a rights respecting democracy in South Korea.
The Covid-19 pandemic has not only been a disaster for the health of people all around the globe. It has also been a disaster for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of world. What we are seeing is increased government control and repression, and resort to emergency laws; increased disparities in access to services, and quality of those services, between the richest and the rest of us, and particularly the poor in the developing world; failures to stop discrimination against disadvantaged and vulnerable populations; and ultimately, increased human rights abuse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governments have an obligation to protect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including the right to seek, receive, and impart information of all kinds, regardless of frontiers.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heal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notably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requires that restrictions on rights for reasons of public health or national emergency be lawful, necessary, and proportionate. So far, the restrictions placed by governments during the Covid-19 seldom meet those tests.
Since the coronavirus outbreak, news reports from a number of countries have documented bias, racism, xenophobia, an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of Asian descent in the West; against refugees like the Rohingya in Malaysia and other refugee groups in other countries living in difficult situations; and against migrant workers who labor receiving governments solicited to come when economies were booming but who now have become unemployed persons unable to return home. The hate campaigns include physical attacks and beatings, violent bullying in schools, angry threats, discrimination at school or in workplaces, and the use of derogatory language in news reports and on social media platforms, among others.
Frankly speaking, it is shocking that many government leaders have so callously seized on this period of desperation, deprivation and despair caused by this devastating virus to increase their powers and control. With this, greater authoritarianism is on the rise, and militarized police responses to people’s demands have increased.
The economic devastation hitting the Southeast Asia region is real. Countries like Cambodia, Malaysia, Myanmar (Burma), the Philippines, Malaysia, and Thailand who are heavily dependent o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m have seen that sector devastated. As consumer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around the world, tighten their belts because they have lost their jobs, demand has dried up for consumer items ranging from garments to electronics to household appliances and other light manufactures. That has meant massive layoffs of industrial workers. Even in countries like Cambodia, Laos and Thailand where the number of Covid-19 cases and deaths has been relatively low, much of the economy has been laid to waste. A return to normal is probably not likely until late 2021.
Traditionally, the Southeast Asian governments have touted economic growth, especially high year on year increases in GDP, as an indication of their legitimacy to rule. The presumption was if governments continued to deliver the overall economic “goods,” then they could persuade or pressure their citizens to put up with greater political controls and increased restrictions on rights. Of course, citizens were not asked for their assent in such an arrangement but it was assumed by authoritarian governments, and even quasi-democratic governments like Malaysia, Singapore and Thailand. Unspoken but obviously part of the arrangements were ruling elites could also steal more through corrupt projects in a booming economy, as we saw in Vietnam and other countries during the pre-Covid 19 period. But now with the economies in free-fall, economic downturns and crisis mean that government leaders’ legitimacy is taking a beating.
With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ruling elites claimed they need draconian new emergency powers to respond to the situation. This is part of a broader trend across the globe – repressive, rights abusing laws are in vogue, and spreading rapidly. In Southeast Asia, ruling elites’ fears tend towards the need to control negative reactions by people who are angry because they have lost jobs and livelihoods. Governments’ claims that such powers are needed to respond to the Covid-19 crisis are a diversionary tactic, yet man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giving those claims the benefit of the doubt.
So in April in Cambodia, Prime Minister Hun Sen and the ruling Cambodian People’s Party used their 125 to zero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as a result of the neither free nor fair 2018 election in which they banned the opposition Cambodia National Rescue Party/CNRP) to jam through the Law on Governing the Country in a State of Emergency. The law permits unlimited restrictions on the right to freedom of movement; freedom of peaceful, public assembly; and the right to privacy, but authorizing unlimited surveillance of telecommunications. The law also provides the government with unlimited authority to control and shut down both traditional media, i.e. newspapers, radio and TV, as well as social media.
And if that was not enough, the law provides a catch all clause to enable the Prime Minister to authorize for himself any other powers he forgot to include. Specifically, it permits “putting in place other measures that are deemed appropriate for and necessary to responding to the state of emergency.”
Similarly, in the Philippines where President Rodrigo Duterte has presided over a murderous ‘war on drugs’ that has result in over 8600 verified killings according to the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of Human Rights--,-and as many as three times that figure if extra-judicial killings by shadowy gunmen are included--,-the onset of Covid-19 has prompted the government to assume even greater powers. The adoption of the Bayanihan to Heal as One Act included language added at the last minute to criminalize the spreading of “false information” with up to 2 months in prison and a 1 million peso fine, and has been critical in pushing back on critics of the government’s Covid-19 response. Yet at the same time, Duterte was working overtime to knock off the air ABS-CBN, the largest TV and radio network in the country, which he ultimately did in first week of May.
When combined with the Philippines strict lockdowns and curfews for Covid-19, and the militarization of government control measure by police and military at checkpoints, the information deficit means greater fear and acquiescence to harsh government measures. In a nation-wide speech at the start of the pandemic in the country, President Duterte instructed officers at checkpoints that: “My orders are to the police and military, also the barangay, that if there is trouble or the situation arises that people fight and your lives are on the line, shoot them dead. Do you understand? Dead. Instead of causing trouble, I’ll send you to the grave.”
And in Thailand, the government put into effect the 2005 law, the Emergency Decree on Public Administration in Emergency Situation, ostensibly to give it authority to coordinate inter-ministerial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However, since day one, the Decree has been used to arrest persons for holding political protests. In the latest round of protests in Bangkok, over 80 people have been charged with this and other draconian law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governments are also taking advantage of what I would call the ‘The cat is away, the mice will play’ factor that has come up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that, I mean that the many governments in Europe, North America, New Zealand, Australia and elsewhere who are ‘like-minded’ in their concern about human rights – and in this group, I would like to include South Korea but cannot really do so yet given Seoul’s weak track record in promoting human rights as part of its foreign policy – are all preoccupied with their own battle against the Covid-19 pandemic. All other concerns are secondary and that means advocacy for human rights gets short shrift.
Issues of foreign policy have been diminished to start with as domestic issues come to the fore. Moreover, difficult and labor intensive representations on human rights issues, which require a protracted effort of advocacy and messaging in both public and private against a recalcitrant, rights abusing government, are simply not being undertaken in the way that they would during normal times.
This retreat from focus on human rights concerns during Covid-19 pandemic continues the damage already done to human rights solidarity efforts by so-called populist governments like the United States under President Donald Trump, and Brazil under President Jair Bolsonaro. While most governments are far from perfect in upholding human rights, both the US and Brazil under previous administrations of President Barack Obama, and Lula da Silva’s Workers Party, were willing to make public and private representations about other governments’ rights records, and work in coalitions to pressure authoritarian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for improvements.
This distraction factor is compounded by the international media’s renewed focus on domestic issues and the Covid-19 crisis to the exclusion of other issues. While there are some exceptions to this trend – such as when the Philippines - action to punish children violating the Covid-19 curfew by putting them in dog cages hit the headlines – there has been less media attention to rights abuses because other stories take priority. And the reality is that media stories about rights abuses are really critical to drive interest by like-minded governments, UN agencies, and other global opinion leaders in human rights problems.
As a human rights activist with Human Rights Watch, this lack of attention by both international policy makers and international media has meant our job becomes much harder.
To see the problem, look at our modus operandi. It is a three-step process – to Investigate, Expose and Change.
However, how do we investigate when we can’t travel to the places where the human rights abuses are occurring because of restrictions on internal movements in many countries, and because we face entry bans at borders across the world?
Look at Myanmar, where an increasingly bloody conflict is being waged in the country’s Rakhine state between the Tatmadaw (Myanmar military) and the insurgent Arakan Army (AA). Civilians are suffering serious rights violations by both sides, but rights monitors, international humanitarians, and media are unable to go to most areas because the government will not permit it. One of the world’s longest Internet bans, now stretching over a year in duration, remains in effect across most of the state. And in the middle of all of this, it is in Rakhine state where Myanmar’s second wave of Covid-19 infections broke out, leading to a rapid escalation in the numbers of infected persons and deaths across the country.
Ethnic Rakhine people are being shelled and caught in the crossfire between the Tatmadaw and the Arakan Army, leading to over 240,000 internally displaced Rakhine. Meanwhile, 130,000 ethnic Rohingya and Kaman Muslims remain locked down in open-air detention camps in central Rakhine state, prompting our recent findings that the Myanmar military and civilian authorities have committed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crimes of apartheid and persecution for their treatment of those persons. And we have not even begun to talk about the crimes that the Myanmar military committed against the over 740,000 Rohingya who fled to Bangladesh in August and September 2017 to escape crimes against humanity and acts of genocide.
Rakhine state may be the one area in the world where a government has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against two different ethnic groups – the Rakhine and the Rohingya -- in the same state, yet because of Covid-19 and government policies, we can’t even get there.
The second dimension of the Human Rights Watch approach is to Expose. The way we do this is through media coverage of our research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But how do we do that if the media is busy covering something else most of the time? Even journalists who we know in Southeast Asia complain to us that they want to cover our stories but that their editors will not give them broadcast time or column space.
The third element of Human Rights Watch’s work, is Change. For Human Rights Watch, that means advocacy with governments, UN agencies, and other international global opinion leaders to pressure rights abusers to cease violating rights, and to repair the damage. But again, that implies there is a degree of engagement for those leaders in dealing with human rights among the many other problems facing them during the pandemic. And it requires innovative strategies to appeal and get support because to be honest, there are real limits on how much persuading you can do on a Zoom call.
So Human Rights Watch, and human rights advocates around the world are hard pressed and, in some cases, we are getting overwhelm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hit in mid-March, we have published more materials than ever, even with our staff mostly working from home. But despite that, the situation is getting worse.
In the Philippines, the lock-down for Covid-19 has also meant that drug users are sitting ducks for police and gunmen who are targeting them with extra-judicial killings. They have nowhere to run or to hide – and in the four months of the Philippines lock-down between April and July 2020, the number of ‘drug war’ killings (based on the government’s own statistics) went up 50% compared to the previous four month period. In August, the number of killings increased again.
Cambodia’s crackdown on opposition CNRP local leaders and members has kicked into overdrive, and the number of political prisoners in the country has reached new all-time high. Trying to hold protests in Phnom Penh, even with just a handful of persons, results in police beatings and arrests. After taking control of almost all the independent media in the country, the government is now seeking to restrict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through a mixture of filing criminal charges against people based on their Facebook posts, drafting a new cybercrime law to criminalize anti-government content like Vietnam has done, and planning to implement a single internet gateway scheme to control all internet traffic in and out of the country.
Malaysia’s new, unelected government led by Prime Minister Muhyiddin Hassin has only a razor thin margin in the Parliament yet it has been using Covid-19 response to burnish its credentials for staying in power. Unfortunately, this has also developed into a campaign of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gainst Rohingya refugees, as well as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nd South Asia who are stranded in the country. In the third week of April, a virulent hate speech campaign against Rohingya refugees flooded social media in Malaysia, resulting in death threats against Rohingya leaders and their Malaysian supporters. Despite outcries from Human Rights Watch and other NGOs, and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 office, and Kuala Lumpur-based diplomats, the Malaysian government refused to act.
Soon thereafter, Ismail Sabri Yaakob, the Minister of Defense, publicly told migrant workers trapped in movement control zones set up to contain Covid-19 in downtown Kuala Lumpur that they would be tested but their immigration status would not be checked because the public health imperative was paramount. But on May Day, immigration moved in and frog-marched thousands of migrants on to crammed lorries to send them to overcrowded and unhygienic immigration detention centers where Covid-19 quickly spread like wildfire. Reporters who covered the crackdown, including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and Al-Jazeera English, faced hostile investigations and withdrawal of working papers and visas. A Bangladesh migrant worker who had publicly spoken to Al-Jazeera was hunted down, arrested, interrogated, and deported.
In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has been a boon to authoritarians as they crack down and seek to cement their control even harder. But alternative scenarios are possible, as the improbable rise of the student led human rights and democracy movement in Thailand show. International solidarity support for activists fighting for their rights through this dark time is what we urgently need to provide to those on the frontlines against authoritarianism and militarism. Only through such strategies can we seek to overcome the daunting human rights situations that we, and our allies, are facing.
인권파괴: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를 이용하는 나라들
필 로버트슨
국제 인권감시기구 아시아지부 부국장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이 계속되는 중에 오늘 여러분과 함께 군국주의와 권위주의의 성장이라는 이 매우 심각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게 된 것은 분명 큰 영광이다. 1980년대 휴먼라이츠워치가 여전히 다양한 지역 위원회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시아워치로 알려졌을 때,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우리가 처음으로 한 일들 중 일부는 한국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것을 간단히 언급하고 싶다. 우리는 독재자에 의한 한국의 인권유린을 기록하기 위해 수개월 동안 한국으로 연구원들을 보냈었는데, 그 당시 군부는 결국 전두환과 노태우 장군을 권력에서 쫓아낸 한국 국민의 민주화 항쟁을 진압하려는 정부를 지지했었다. 그래서 나는 광주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들과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존중하는 권리를 만들기 위한 투쟁에서 희생한 사람들의 기억을 기리기 위해 여러분이 하고 계시는 일에 경의를 표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은 전 세계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재앙뿐만이 아니다. 세계인의 인권에 대한 재앙이 되고 있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정부의 통제와 억압이 증가되고 비상 법에 의존하는 것이다. 가장 부유한 사람들과 그 나머지 사람들, 특히 개발도상국의 가난한 사람들과 서비스 접근성과 서비스의 질에 있어서 격차 증가, 즉 취약계층 및 취약계층에 대한 차별 중단이 실패하고,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인권 침해가 증가하는 것이다.
국제 인권법에 따르면, 정부는 국경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정보를 찾고, 받고, 전달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여 표현의 자유에 관한 권리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 정부는 건강할 권리를 포함하여 권리들의 보호와 증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
국제인권법, 특히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은 공중보건이나 국가비상사태를 이유로 권리의 제한이 적법하고, 필요하며, 균형 잡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정부가 부과한 제한들은 이러한 시험들을 좀처럼 충족시키지 못한다.
코로나바이러스 발발 이후, 많은 국가들의 뉴스는 서양에서 아시아계 사람들에 대한 편견,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 차별 등을 보도한다. 예를 들면, 말레이시아의 로힝야족과 같은 난민들과 어려운 상황에서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난민들, 그리고 경제가 호황을 누릴 때는 정부가 와달라고 요청했지만 지금은 실업자가 되어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는 노동자들에 대한 것 등이다. 혐오캠페인에는 신체적 공격 및 구타, 학교에서의 폭력적 괴롭힘, 성냄과 협박, 학교 또는 직장에서의 차별, 뉴스 보도 및 SNS상의 비하적인 언어 사용 등이 포함된다.
솔직히 말해서, 많은 국가의 지도자들이 파괴적인 바이러스로 인한 절망, 박탈, 좌절의 시기를 너무나 냉담하게 점령하여 그들의 권력과 통제력을 높이고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다. 이로 인해 권위주의가 더욱 강화되고 국민의 요구에 대한 군경찰의 대응도 강력해지고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을 강타한 경제적 손실은 현실이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미얀마(버마),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과 같이 국내 및 외국 관광객에 의존이 높은 국가들은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유럽과 북미, 그리고 전 세계의 소비자들이 일자리를 잃어 허리띠를 조이면서 의류부터 전자제품, 가전제품 및 기타 경공업제품의 소비재까지 수요가 말라갔다. 이는 산업근로자의 대규모 해고로 이어졌다.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과 같은 국가에서도 경제적 손실이 컸다. 2021년 말까지는 정상으로 돌아갈 것 같지 않다.
전통적으로 동남아시아에서는 정권의 통치 정당성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특히 국내총생산(GDP) 증가와 같은 경제 성장을 내세웠다. 만약 정부가 모든 경제적 ‘재화’를 계속 전달한다면, 그들은 시민들에게 더 큰 정치적 통제와 권리에 대한 규제 강화를 참아내도록 설득하거나 압력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시민들은 그러한 협의에 동의를 요구받지 않았지만, 권위주의 정부들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과 같은 준민주주의 정부에 의해서는 당연하게 여겨졌다. 말로 하지 않으나 명백히 합의된 일부는, 코로나19 이전에 베트남과 그밖의 국가들에서 봤듯이 지배엘리트들은 호황을 누리는 경제에서 부패한 사업들을 통해 더 많은 것을 훔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경제가 자유낙하로 접어들면서 경기 침체와 위기는 정부 지도자들의 정당성이 타격을 받고 있다는 걸 뜻한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지배 엘리트들은 이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강력한 새로운 비상권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전 세계적으로 더욱 광범위해진 추세의 일부분이다. 억압적이고 권리를 침해하는 법률이 유행하고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지배 엘리트의 두려움은 일자리와 생계를 잃어 화가 난 사람들의 부정적인 반응에 대한 통제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그러한 권한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주장은 교란작전임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이들이 주장하는 말을 믿어주고 있다.
그래서 4월 캄보디아에서 훈센 총리와 집권당 캄보디아인민당(CPP)은 국회에서 125 대 0의 과반수를 이용해서 (2018년 선거에서 제1야당인 캄보디아구국당(CNRP)을 금지한 결과) 국가 비상사태에서 국가통치에 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법은 이동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자유, 사생활권에 대한 권리에 무제한 제약을 허용하고, 그리고 통신에 대한 무제한 감시를 허용한다. 이 법은 또한 신문, 라디오 및 TV와 같은 전통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통제하고 차단할 수 있는 무제한적 지휘권을 정부에 주고 있다.
그리고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면, 법은 총리가 포함하는 걸 잊어버린 다른 권한을 스스로 승인 할 수 있도록 모든 조항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상사태 대응에 적절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타 조치를 시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인권고등판무관실에 따르면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살인적인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필리핀에서 8,600명 이상의 사형이 확인되었고 암살자에 의한 추가적인 사법살인까지 포함한다면 그 수는 3배에 이를 것이다. 코로나19의 발발로 정부는 더 강한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1차 바야니한 법안(Bayanihan to Heal as One Act)을 채택할 때는 ‘허위정보’ 유포를 불법화하여 최대 2개월 징역과 100만 페소 벌금형을 마지막 순간에 추가했다. 그리고 이 법안은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비판을 반박하는데 중요했다. 하지만, 동시에 두테르테 대통령은 필리핀 최대 방송사이자 거대 미디어 기업인 ABS-CBN을 없애기 위해 부단히 애를 썼고 이 일은 마침내 5월 첫째 주에 이루어졌다.
필리핀 코로나19에 대한 엄격한 봉쇄 및 통행금지와 검문소에서 경찰과 군대에 의한 정부 통제 조치의 군국화가 결합 될 때, 정보 부족은 가혹한 정부 조치에 대한 더 큰 두려움과 묵인을 의미한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이 나라에서 유행병이 시작될 때 전국적인 연설에서 검문소에서 장교들에게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군경과 바랑가이(barangays, 필리핀의 최소 기초단체)에게 명령한다. 사람들이 당신들에게 저항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나 상황이 일어나면 사살하라. 이해했어? 죽었으면, 문제 일으키지 않고 무덤으로 보내겠다.”
태국에서는 정부가 2005년 법률인 비상사태 행정 명령을 발효하고 표면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부처간의 대응을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첫날부터 이 법령은 정치적 시위를 벌인 사람들을 체포하는 데 이용되었다. 최근 방콕에서 열린 한 시위에서 이 법 및 다른 엄격한 법으로 8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됐다
소위 ‘고양이가 없어지면 쥐가 설친다(When the cat is away, the mice will play)’라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등장한 이 말을 정부들이 활용하고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유럽, 북미, 뉴질랜드, 호주 및 기타 국가의 많은 정부가 인권에 대한 우려에 대해 ‘같은 마음’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나는 이 그룹에 한국을 포함하고 싶지만, 외교 정책의 일부로서 인권증진에 대한 서울의 미약한 행적을 감안한다면, 실제로는 아직 그렇게 하지 못 하겠다. 모두 코로나19 대유행과의 전쟁에만 몰두되어 있다. 다른 모든 우려는 부차적이며, 이는 인권의 옹호가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국내 문제가 부각되면서 외교정책에 신경 쓸 틈이 없다. 더구나 인권 문제에 관한 힘들고 노동 집약적인 표출은, 권리를 남용하는 고집불통 정부에 대해 공개적 그리고 개인적으로 호소하고 의견 전달하는 오랜 노력이 필요한데 평소에 하는 방식으로는 단순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코로나 19 대유행 기간 동안 인권에 대한 초점으로부터의 이러한 후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과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브라질과 같은 소위 포퓰리즘 정부에 의해 이미 인권 연대 노력에 가해진 피해를 지속시키고 있다. 대부분의 정부는 인권을 옹호하는 데 완벽하지는 못했지만, 전 버락 오바마 대통령행정부와 룰라 다 실바의 노동당의 미국과 브라질은 다른 정부의 인권 기록에 대해 공개적이고 사적으로 표현하고 개선을 위해 전 세계 권위주의 정부에 압력을 가하는 연합에 힘썼다.
이 방해 요인은 해외언론이 다른 문제들은 배제하고 국내 문제와 코로나19 위기에 새롭게 초점을 두게 됨으로써 더욱 복잡해졌다. 코로나19 이동금지 위반자들을 개 우리에 가두고 처벌하는 필리핀 조치가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는 등 이러한 추세에 예외도 있지만, 다른 뉴스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인권 침해에 대한 언론의 관심은 줄어 들었다. 그러나 사실은, 인권 침해에 대한 언론보도가 인권 문제에 대해 같은 생각을 가진 정부, 유엔 기관 및 기타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데 정말 중요하다는 것이다.
휴먼라이츠워치의 인권활동가로서, 국제 정책 입안자들과 해외 언론의 이러한 관심 부족은 우리의 일이 훨씬 더 어려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를 알아볼려면 우리의 운영방식을 보라. 조사, 노출, 변경 이 3단계 과정이다.
그러나 많은 국가의 국내 이동 제한으로 인해 인권침해가 발생한 곳을 가볼 수 없고, 전 세계 국경에서 입국 금지에 걸려있는 경우 우리는 어떻게 조사를 하겠는가?
미얀마를 보라. 그곳 라카인주(州)에서는 타트마도(미얀마군)와 반란군 아라칸군(AA) 간에 유혈 충돌이 증가하고 있다. 민간인들은 양측에 의해 심각한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지만, 인권감시단체들, 국제인도주의자들, 언론은 정부가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역에 갈 수 없다. 현재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긴 인터넷 폐쇄 조치가 대부분의 도시에서 여전히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 도중에, 미얀마의 코로나19 감염 두 번째 확산이 라카인주(州)에서 발생되었고, 전국적으로 감염자와 사망자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라카인(Rakhine)족이 타트마도와 아라칸군 사이의 총격에 포격되어 붙잡혀 24만 명 이상의 국내 이재민이 발생했다. 한편, 로힝야족과 카만 무슬림 13만 명이 라카인 중부의 난민수용소에 갇혀 있으며, 미얀마군과 시민 당국이 이 사람들 취급에 인종차별과 박해라는 국제인권범죄를 저질렀음을 우리는 최근 발견했다. 그리고 우리는 미얀마군이 2017년 8월과 9월에 반인도적 범죄와 대량학살 행위를 피해 방글라데시로 도망간 74만 명이 넘는 로힝야족에 대해 저지른 범죄에 대한 이야기는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라키네주(州)는 정부가 같은 지역에서 다른 두 종족, 라키네와 로힝야에 대해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른 유일한 지역일 수도 있지만, 코로나19와 정부 정책 때문에 우리는 그곳에 가볼 수 없다.
휴먼라이츠워치 접근법의 두 번째 단계는 노출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방법은 우리의 연구 결과와 권고사항에 대해 언론보도를 통하는 것이다. 하지만 매체가 대부분의 시간을 다른 것을 취재 하느라 바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동남아시아에 있는 우리가 아는 기자들 조차 우리 이야기를 취재하고 싶지만 편집장들이 방송시간이나 칼럼 분량을 주지 않는다고 불평한다.
휴먼라이츠워치 작업의 세 번째 요소는 변화다. 이는 휴먼라이츠워치가 정부, 유엔 기구 및 기타 글로벌 오피니언 리더들과 함께 인권침해를 중지하고 피해를 복구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이 지도자들이 대유행 동안 직면하고 있는 다른 많은 문제들 중에서 인권을 다루는 데 있어 관여하는 정도가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솔직히 줌(ZOOM) 화상통화로 얼마나 설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호소하고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휴먼라이츠워치와 각국의 인권옹호자들은 강한 압박을 받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부담이 된다. 3 월 중순에 코로나19 유행이 닥친 이후로, 대부분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우리 직원들과 함께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자료를 출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필리핀에서 코로나19로 강력한 봉쇄 조치를 한 것은 마약 복용자들이 사법 외의 살인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경찰과 암살자들로부터 옴짝달싹 못하고 있는 상태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들은 도망가거나 숨을 곳이 없다.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필리핀을 폐쇄한 4개월 동안 '마약 전쟁' 살인은 이전 4개월과 비교해 50% 증가했다. 지난 8월에도 살인이 다시 증가했다.
캄보디아의 야당 구국당(CNRP) 지역 지도자들과 당원들에 대한 탄압이 과도하게 촉발되었고, 캄보디아의 정치범 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프놈펜에서 소수인원이라도 시위를 벌이려고 하면 경찰로부터 구타와 체포를 당한다. 국내 거의 모든 독립적인 언론를 장악한 후 정부는 사람들을 페이스북 게시물에 근거하여 형사입건하고, 베트남이 그랬던 것처럼 반정부 콘텐츠를 범죄화하는 새로운 사이버범죄 법안을 입안하고, 국내외 모든 인터넷 트래픽을 통제하는 단일 인터넷 게이트웨이 체제 도입을 추진하는 등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을 모색하고 있다.
무히딘 야신 총리가 이끄는, 비선출 말레이시아의 새 정부는 의회에서 근소한 표차만 있었지만,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격 검증를 쇄신하기 위해 코로나19 대응을 이용해 오고 있다. 불행하게도 이는 또한 로힝야족 난민뿐만 아니라 국내에 발이 묶인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 온 이주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외국인 혐오증으로 발전했다. 4월 셋째 주에는 로힝야족 난민에 대한 도 넘는 혐오 발언이 말레이시아 소셜미디어에 범람했고, 로힝야족 지도자들과 그들을 지지하는 말레이시아인들에 대한 살해 위협을 초래했다. 휴먼라이츠워치를 비롯한 NGO단체들과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 쿠알라룸푸르 주재 외교관들의 외침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정부는 행동을 거부했다.
그 후에 바로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 국방부 장관은 쿠알라룸푸르 시내에 코로나19를 봉쇄하기 위해 조성된 통제구역에 갇힌 이주노동자들이 코로나 검사를 받을 것이지만, 국민건강 강행법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이민 신분은 확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말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노동절(May Day)에 이민국이 들어와 수천 명의 이주민들을 붙잡아 밀폐된 트럭으로 코로나19가 삽시간에 들불처럼 번진 비위생적인 이민자 수용소로 보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알-자지라 잉글리시 등 강력탄압을 취재한 기자들은 적대적 수사와 작업한 기사 압수 및 비자 취소에 직면했다. 알-자지라와 공개적으로 대화를 나눈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는 쫓기어 체포되고 심문, 추방되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대유행은 권위주의자들이 탄압하고 통제를 더욱 더 강화시키려는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태국에서 보여주듯 학생이 주도하는 인권과 민주화운동이 눈에 띄게 증가했고 대안적인 시나리오들도 가능하다. 이런 암울한 시기 내내 자신들의 권리를 위해서 투쟁하는 활동가들에 대한 국제적 연대 지원은 권위주위와 군국주의에 맞서 최전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긴급하게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바로 그것이다. 그런 전략을 통해서만이 우리와 우리 동맹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위협적인 인권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