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yZine Subscription

Features

A Destiny of Democracy and Cilvilization

Sushil Pyakurel
Former Advisor to Rt. Hon’ble. President of Nepal

The movement against autocratic monarchy in Nepal and the May movement of Gwangju are comparable in many ways. Both of them were organized in the same era. Both of these movements led to the abolition of dictatorial regimes. And, both of them paved way for the inception of political systems that would guarantee human rights and democracy. Empowerment of masses and social transformation may be underlined as the vital aspects of these movements.

Similar to Korea, Nepal also had a brief tryst with parliamentary democracy in the early 1960s. However, the then King, who was supposed to function as a constitutional monarch under the 1959 constitution, dismissed the populalry elected government, which actually enjoyed two-thirds majority in the parliament. The King had the backing of the miltary as in many other experiences of the subversion of democracy. So, the act of the King was in fact a military coup. Following this, the Nepali people had to continue their democratic struggle for three decades under the autocratic rule of the monarchy.

Akin to the Yushin Constitution enacted in 1972 in Korea, the King of Nepal also promulgated a Constitution in the ealry 1970s designing a party-less political system. It not only prohibited the political parties, but also muzzled press freedom, freedom of organization and speech as. All political activities were banned. Sympathizers of democracy were labelled as anti-national elements, and brutally suppressed. Many of them, including the elected prime minister, were arrested and jailed.

As in Korea, the young students in Nepal started their pro-democracy agitation around the year 1972. Demands of the students were simple: the basic freedoms. Of expression, organization and movement and life. Life, liberty and pursuit of happiness in an envronment of opneness was all we wanted. Fearing that student protests would spread fast, the government suppressed this movement with an iron fist. However, supression only led to more vigorous protests. Major political parties comprising the Left Forces and Nepali Congress, which were operating secretively, supported the student movement. This transformed the protests into a huge popular movement, with people from various walks of life coming together for democracy.

Back then, I was active in a small industrial town of Nepal in the central region to spread the democratic movement. I was a cadre of an underground political party. It was radio that brought to us the news of Gwagnju, which inspired us in several ways. I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Gwangju movement as to how the public resisted the inhumane suppression meted out by the government forces. Undergoing similar conditions as the Republic of Korea while fighting for democracy, we used to believe that the Korean people were also supporting in our protests. There was a sense of distant unity in our minds. I still recall listening to the BBC radio and reading newspapers secretly which reproted how the Korean people captured the Gwangju city. We also had nearly captured the city of Hetauda where I was living.

The May 18 movement of Korea uprooted the military dictatorship; we were also protesting against the autocratic monarchy and for the dissolution of the Constitution issued by the King.

During the eventful 40 years following the May 18 movement, Korean people have to struggle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cy and to establish the State's commitment towards human rights. Today, Republic of Korea is regarded in the world as a democratic nation with full commitment towards human rights. The world cites Korean example for its sincere and victorious fight against COVID 19. Governance close to the people has been vindicated by the Korean example, for which I congratulate you. I know, the fight is long and will have to continue. But I also know, people's will for peace and development has now become institutionalized. The May 18 movement of Korea has relegated military dictatorship to the ruins of history and has effectively blocked its resurgence at any time.

In Nepal too, monarchy has been abolished after 45 years of constant struggle and popular movements. The country has now entered into a federal, democratic and republican setup. The Constitution enacted five years ago has assumed an inclusive character. While affirmative action has been ensured for marginalised communities, at least 33 percent reservation is guaranteed for women in all agencies of the State, including in the bureaucracy. The Constitution of Nepal, promulgated by the popularly elected Constituent Assembly has imbibed all the tenets of human rights that have been enshrined as the principles of democracy in our contemporary world. Like in Korea, autocracy has been relegated to the dustbin of history in Nepal as well.

The May 18 movement was in fact a movement for 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Hence, it was against the autocratic regime. It was a protest against militarism and dictatorship, under which we cannot even think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In my perception, the Gwangju revolt was a people's rebellion. When the army attacked the masses with tanks and helicopters, people resisted with unity. They also used the weapons that they seized from security persons. Though some right-wing critics name this as an armed or violent movement, it was in fact a resistance organized by the people, who refused to bow before brutality. Neither the people formed their own armies nor were they involved in planned attacks. it was, therefore, a public resistance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that stood against democracy and peace.

In Nepal also, the people had to face not only such type of resistance but also a "peoples' war" launched by a political group. That armed insurgency that was said to have been waged against active monarchy was rejected by democratic forces. Nepal's democracy for a decade since 1996 had to face armed attacks from two sides during this period: one from the state and the other from the armed insurgents. The democratic forces however encouraged that armed group to participate peaceful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rule imposed by the King. The force that aimed to abolish monarchy by violence later joined the mainstream of peaceful protests. Eventually, with the mass uprising of the people, Nepal's autocratic monarchy was abolished.

The May 18 movement of Korea has created its identity in the world. This movement has left a global implication that how people would one day stand up against a powerful military dictatorship and would defeat militarism. This movement stands an integral part of not only the path of Korea's democratization, but also for the democratic movement of the whole world. The Korean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at are established by this popular movement, are the living testaments to the world.

The May 18 movement holds another dimension also, that of transitional justice. During the fight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resistance movements in Korea had to undergo painful moments. Several people lost their lives, many suffered lifelong injuries and a many were forcibly disappeared. The matters to be prioritized during transition after a political change are the reparation and justice for the victims suffering from those movements. Similarly, accountability of the persons involved i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cannot also be forgotten.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which was born after the Gwangju movement, is in itself an organization created by the victims. Huge parks and museums have been built in the honour and remembrance of the victims. Documentation of the contribution made by the families and relatives of victims have kept the role of people and the history of suppression so lively. In the context of transitional justice in many post-conflict countries, though reparation and compensation are offered for the victims, there is a lot of work to do for developing a tradition of national honour for their immense contribution. Korea, having enacted a law on May 18 itself and has institutionalized the achievements of that movement, sets an example in this regard as well. This is a matter for learning to a country like Nepal which is still managing the transition from violence to peace.

In order to advance the norms and values of the May 18 movement,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needs to take further initiatives. It should strive for the universalization of the canon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which have been profoundly established by the movement. The Foundation should not only project the movement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people fighting against militarism and dictatorship, but also has to offer lessons on how a democratic system may be institutionalized after the fall of authoritarianism. Achievements of the May 18 movement shape our shared destiny of democracy and civilization.

Thank you !



민주주의와 문명사회의 운명

수실 파퀴렐
전 네팔 대통령 인권 자문

네팔의 군부 독재 반대운동과 광주의 오월민주화운동은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둘 다 같은 시대에 조직되었고 두 운동 모두 독재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둘 다 인권과 민주주의를 보장 할 정치 체제의 시작을 위한 길을 열었다. 대중의 권한 강화와 사회적 변혁은 이러한 운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강조 될 수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네팔은 1960년대 초에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짧은 시도를 했다. 그러나 1959년의 헌법에 따라 입헌군주로 활동할 예정이었던 당시 국왕은, 실제로 의회에서 3분의 2 다수였던, 대중에 의해 선출된 민주정부를 사라지게 했다. 왕은, 민주주의의 전복에 대한 많은 다른 경험들과 같이, 군의 지원을 받았다. 그래서 왕의 행위는 사실 군사쿠데타였다. 이에 따라 네팔 국민은 군주제 독재 통치 아래 30년 동안 민주적 투쟁을 계속해야 했다.

1972년 한국에서 제정된 유신헌법과 마찬가지로 네팔 왕은 1970년대 초에 비정당제를 고안한 헌법을 선포했다. 그것은 정당제를 금지할 뿐만 아니라 언론의 자유, 조직의 자유와 발언권을 빼앗아 갔다. 모든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고 민주주의 동조자들은 반국가적 요소로 분류되었고 잔인하게 억압되었다. 선출된 총리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네팔의 젊은 학생들은 1972년경에 민주화운동을 시작했고 학생들의 요구는 간단했다. 표현, 조직과 운동, 그리고 일상에서의 ‘기본적인 자유’였다. 개방적인 환경에서 삶, 자유, 행복 추구가 우리가 원하는 전부였다. 학생 시위가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 두려워 정부는 철권통치로 진압했다. 그러나 억압은 더욱 격렬한 시위로 이어졌다. 비밀리에 활동하던 좌파와 네팔 의회로 구성된 주요 정당들이 학생들의 시위를 지지했다. 이로 인해 시위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위해 함께하는 거대한 시민혁명으로 변모했다.

나는 그 당시 중부 네팔의 작은 산업도시에서 민주화운동을 전파하기 위해 활동하며 지하 정당의 간부였다. 우리에게 여러 방면으로 영감을 준 광주의 소식을 전한 것은 라디오였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에 관심이 많았는데, 정부군이 저지른 비인도적인 탄압에 국민들이 어떻게 저항했는지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면서 한국과 비슷한 상황을 겪으며 한국 국민들도 또한 우리의 시위를 지지한다고 믿곤 했다. 우리의 마음엔 거리는 멀지만 연대가 있었다. 나는 아직도 BBC 라디오를 들으며 한국 사람들이 광주를 어떻게 점령했는지를 보도한 신문을 비밀리에 읽었던 것을 기억한다. 우리도 내가 살고 있던 헤타우다 시를 거의 점령하였다.

한국의 5·18민주화운동은 군사독제를 뿌리 뽑았고, 우리도 또한 독재군주제와 왕이 선포한 헌법의 해체를 위해 저항하고 있었다.

5·18민주화운동 이후 40년 동안 한국 국민들은 민주주의의 제도화와 인권에 대한 국가의 약속을 확립시키기 위해 투쟁해야 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인권에 전념하는 민주주의 국가로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세계는 COVID-19에 맞서 진심으로 승리한 한국의 모범 사례를 알렸고 국민과 가까운 곳에 있는 정부는 한국의 사례에서 입증되었다. 축하드린다. 나는 이 투쟁이 길고 지속되어야한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또한 평화와 발전에 대한 사람들의 의지가 제도화되었음을 알고 있다. 한국의 5·18민주화운동은 군사 독재를 역사의 폐허로 몰아넣고 언제라도 부활하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왔다.

네팔에서도 45년간의 끊임없는 투쟁과 민중운동 후에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이 나라는 이제 연방, 민주주의 및 공화당 체제에 진입했다. 5년 전에 제정된 헌법은 포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소외된 사회적 약자를 우대하는 정책이 보장되어 있으면서, 관료제를 포함하여 국가의 모든 기관에서 여성에 대해서는 최소 33% 배정이 보장된다. 대중에 의해 선출된 헌법 제정의회에 의해 선포된 네팔 헌법은 우리 현재 세계에서 민주주의의 원칙으로 자리 잡은 인권의 모든 조문들을 포함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독재정치는 네팔 역사에서도 쓰레기통으로 들어갔다.

5·18민주화운동은 사실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위한 운동이었다. 그러므로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것이었다. 민주주의, 인권과 평화를 생각할 수 없는 군국주의와 독재에 대한 항의였다.

내 견해에서 광주사태는 민중 반란이었다. 군대가 탱크와 헬리콥터로 시민을 공격하자, 사람들은 단결하여 저항했다. 경찰들로부터 빼앗은 무기들도 사용했다. 일부 우익 비평가들이 이것을 무장 또는 폭동으로 명명하고 있지만, 사실 그것은 잔혹함에 무릎 꿇기를 거부한 사람들에 의해 조직된 저항이었다. 시민들은 스스로 군대를 조직하지도 계획적인 공격에 가담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민주주의와 평화를 강하게 반대하는 군사독재에 싸우는 대중의 저항이었다.

네팔에서도 국민들은 이러한 저항 뿐 아니라 정치단체가 일으킨 '인민 전쟁'에 직면해야 했다. 적극적인 군주제에 맞서 싸웠다고 알려진 무장 폭동은 민주주의 세력에 의해 거부되었다. 1996년부터 10년 동안 네팔의 민주주의는 이 기간 동안 양측의 무장 공격에 직면해야 했다. 하나는 국가로부터, 다른 하나는 무장 반군으로부터의 공격이었다. 그러나 민주주의 세력은 그 무장 단체가 국왕이 내린 군사통치에 반대하는 평화운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했다. 폭력으로 군주제를 폐지하려는 세력은 나중에 평화적 시위의 주류에 합류했다. 결국 대규모의 국민 봉기로 네팔의 독재 군주제는 폐지되었다.

한국의 5·18민주화운동은 그 정체성을 세계적으로 이루어 냈다. 이 운동은 민중이 언젠가는 강력한 군사 독재에 맞서서 군국주의를 물리 칠 것이라는 묵시적인 의미를 전세계에 남겼다. 이 운동은 대한민국 민주화의 길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민주화 운동에서 빼놓을 수 없다. 이 민중 운동으로 세워진 한국의 민주주의와 인권은 세계적으로 살아있는 증거이다.

5·18민주화운동은 또 다른 차원에서 과도기적 정의를 담고 있다.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우는 동안 한국의 저항 운동은 고통스러운 순간을 겪어야 했다. 몇몇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많은 사람들이 평생 상처를 입었고 많은 사람들이 실종되었다. 정치적 변화 이후 전환 과정에서 우선시되어야 할 문제는 그러한 운동으로 고통받는 피해자에 대한 보상과 정의이다. 마찬가지로 인권침해를 저지른 사람들의 책임도 잊혀서는 안 된다.

광주사태 이후 탄생한 5·18기념재단은 희생자 가족들이 만든 조직이다.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거대한 공원과 박물관이 세워졌다. 희생자 일가친척이 기여한 공로를 기록하여 당시 시민들의 역할과 억압의 역사가 매우 생생하게 유지되었다. 많은 분쟁-후-국가들이 과도기적 정의의 맥락에서 희생자에 대한 배상·보상을 제공하지만, 그들의 막대한 공로에 대한 국가적 명예의 전통을 발전시키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많다. 5월 18일 관련 법안을 제정하고 그 운동의 성과를 제도화한 한국은 이 점에서도 모범이 되고 있다. 이것은 아직도 ​​폭력에서 평화로의 전환을 진행하고 있는 네팔과 같은 나라가 배울 사안이다.

5·18민주화운동의 규범과 가치를 발전시키기 위해 5·18기념재단은 더 나아간 계획들을 취해야 한다. 민주화운동을 통해 깊이 확립된 민주주의와 인권 규범의 보편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념재단은 광주민주화운동을 군국주의와 독재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에게 영감의 원천으로 투사할 뿐 아니라 권위주의가 몰락한 후 민주주의 체제가 어떻게 제도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교훈을 제공해야 한다. 5·18민주화운동의 성과는 민주주의와 문명에 대한 우리의 공동 운명을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