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yZine Subscription

Special Theme

UDPMA – A Way Forward to Counter Militarism and Authoritarianism

Saima Gull
Centre for Social Policy Development, Pakistan

Won’t it be strange, if your own military aims its gun straight upon on you to curtail your civil liberties and constitutional rights in the name of homeland security? Even though cost of its guns, uniform, vehicles, salaries and other benefits are being extracted from you and other taxpayers, you, as a concerned citizen, are not allowed to question or protest, about its misconducts and constitutional violations, particularly, in terms of undermining human rights, political processes and democracy. Otherwise, you would be declared as an agent of enemy to the state and also can face torture, harassment, imprisonment, forced disappearance along with fabricated cases of sedation or corruption.

Usually, military directly rules over its country after coup de’tats, putting the constitution into abeyance. Sometimes it keeps maneuvering the socio-economic and political processes behind the screen to have control government policies. For example, out of 73 years of its existence Pakistan has spent 35 years under the direct rule of military and its martial laws. But it doesn’t mean it went back to its barracks and detached itself from politics of the country during the remaining years. According to the press statements of two former, elected prime ministers of Pakistan, Yousaf Raza Gillani ad Nawaz Sharif, “military is functioning as a state, above the existing state”.

The sanctity of popular vote has always been trampled on by military and its intelligence agencies. Certainly, people can vote to elect their parliament members and prime minister but if the military doesn’t like that elected representatives or if he/ she tries to keep the military bureaucracy out of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government, then that political/ civilian leader can be arrested, maligned, kicked out, murdered, or executed. Since the emancipation of Pakistan none of its elected prime ministers could complete his/ her terms and were thrown out of the system in one way or the other. If truth be told two of Pakistani prime ministers, Liaqat Ali Khan and Benazir Bhutto were murdered during a public meeting and other one, Zulfikar Ali Bhutto was hanged after a controversial legal proceeding. Similarly, the former prime minister Nawaz Sharif was once exiled to Saudi Arabia and now is locked up in a jail after his dismissal on corruption charges.

Of course, military establishment is playing a decisive role in shaping and removing of country’s governments. On the other end, Pakistani judiciary is not capable enough to maintain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and therefore, unable to promote rule of law and protection of people’s rights. Majority of the rulings of courts vehemently provide legal protection to unlawful conducts of military and its spy agencies. Actually, military has ruined or weakened the entire governance structure, including judiciary,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of course, the parliament in order to occupy the driving seat of the country.

Military leadership feels no hesitation to announce its agenda and roadmap on almost every aspects of governance — from defense to foreign affairs, economic policy, health and education. It seems that military is not ready to stop grabbing the administrative powers.

Various mass movements emerged within different timeframes to resist the unconstitutional role of military while civil society, political parties, human rights defenders and democracy-loving activists came at the forefront to ensure true democracy. But these movements could not bring a big change in the scenario because of prevailing narratives and myths about the military and national security. In fact, military has tactfully portrayed itself as a savior of territorial and ideological integrity of Pakistan. Moreover,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mainstream media (print & electronic), and folklores, are filled with supernatural stories about the skills, capacity and sacredness of military to prove it a “holy cow” within state structure. The majority of young minds do believe on those particular myths rather than questioning about the constitutional violations and exploitative roles of military bureaucracy. Even, mainstream print, electronic and social media is being controlled directly by military headquarters and ISPR (Inter-Services Public Relation - a subsidiary body of Pakistani Armed Forces, for media management) and release advisory for censorship on TV channels, radio, and social media sites.

At present, around 5000 political dissents, journalists, lawyers, activists and academicians are forcibly disappeared upon raising voice against violations and misconduct of “holy cow”, through their articles, blogs, Facebook pages, twitter, TV channels and protest demonstrations. Similarly, registration of 9000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GOs has been cancelled and the remaining are going through severe restrictions and surveillance from military’s intelligence agencies. Obviously, Pakistani military is vigorously involved in blocking every potential source of criticism and opposition that could challenge its monopoly.

Alongside grabbing prominent positions on the political chess board, the military is rapidly expanding its commercial outreach through the businesses of real estate, cement manufacturing, telecommunication, banking, security guardship, transport and airline. Entire Pakistan has now become a garrison state that is more inclined towards militarization of economy and society instead of emerging as a progressive and democratic country with a clear agend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uman welfare.

Whenever we review the history of civil liberties and military dictatorship in Asian Region we find some unprecedented effects of the Gwangju Uprising (May 18 – 27, 1980) on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It’s also known as the May 18 Movement. Regardless of ruthless military operation Gwangju citizens resisted passionately in unity and commitment for the protection of their rights to determine their own political destiny. During my visit to Gwangju in 2018, I saw variety of monuments, memorial sites, parks, libraries, documentation centers, buildings and halls across the city, especially to preserve the historical assets/ spots of the May 18 Movement. So the people could realize about the troubles in a militarized society and subsequently, they must have respect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An organization under the name of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has worked in South Korea to spread the essence of pea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not just inside Korea but across the Asian Continent. Now, a signature campaign is underway to acquire moral support of global civil society to appeal to the United Nations (UN) for Designation of May 18, as Universal Day for the Prevention of Militarism and Authoritarianism. I think that commemoration of Universal Day on May 18 would not just become a source of paying tribute to the activists of Gwangju Uprising but it would also create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against militarism and authoritarianism.



UDPMA – 군사주의와 권위주의에 맞서기 위한 방법

Saima Gull
Centre for Social Policy Development, Pakistan

당신의 군대가 국가 안보라는 이름으로 시민의 자유와 헌법상 권리를 축소하고자 당신에게 총을 겨눈다면 이상하지 않겠는가? 총기와 제복, 차량, 급여 등 기타 사회보장 혜택에 필요한 비용이 당신과 다른 납세자들의 세금에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으로서 당신은 위법 행위 및 헌법 위반, 특히 인권과 정치 절차,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측면에 대해 질문하거나 항의할 수 없다. 그럴 경우 당신은 국가 적대 세력의 대리인으로 몰리거나 조작된 부패 사건으로 고문, 괴롭힘, 투옥, 강제 실종에 직면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군대에 의한 정부는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은 후 국가를 직접 통치하며 헌법 위에 군림한다. 또한 정부 정책에 대한 통제를 목적으로 사회 경제적 정치적 절차를 계속 조종한다. 파키스탄의 경우 지난 73년의 역사에서 35년을 군대와 계엄령의 직접적인 통치하에 있었다. 그러나 그것이 병영에서 끝나고 나머지 기간은 국가 정치로부터 분리되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파키스탄에서 선출된 두 전직 총리 Yousaf Raza Gillani와 Nawaz Sharif가 언론에 발표한 바에 따르면 “군대는 기존 국가 위에 한 국가로서 기능하고 있다” 라고 되어있다.

대중 투표의 신성함은 군대와 정보기관에 의해 항상 짓밟혀 왔다. 사람들은 의회 의원과 총리 선출을 위해 투표 할 수 있지만 선출된 대표가 군의 마음에 들지 않거나 당선된 인물이 정부의 의사 결정 과정에 군 관료가 개입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경우 해당 정치인/ 민간 지도자는 체포되거나 비방 받거나, 쫓겨나거나 살해 또는 처형될 수 있다. 파키스탄 해방 이후 선출된 총리 중 누구도 자신의 임기를 완료하지 못했으며 어떤 식으로든 체제에서 축출당했다. 파키스탄 총리 Liaqat Ali Khan과 Benazir Bhutto가 공개회의 중 살해당했으며 다른 인물 Zulfikar Ali Bhutto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법적 절차가 끝난 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유사하게 전 총리 Nawaz Sharif는 한때 사우디아라비아로 추방당했고 지금은 부패 혐의로 해고된 후 감옥에 갇혀 있다.

군사 체제는 국가 정부를 형성하고 제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파키스탄 사법부는 독립성과 공평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법치와 국민 권리 보호를 장려할 수 없다. 법원 판결 대부분은 군대와 스파이 기관의 불법 행위에 대해 강한 법적 보호를 제공한다. 실제로 군대는 국가 통치력을 장악하기 위해 사법부와 법 집행 기관, 의회를 포함하는 전체 통치 구조를 파괴하거나 약화했다.

군사 지도부는 국방에서 외교, 경제 정책, 보건과 교육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통치 측면에 대한 의제와 로드맵을 주저 없이 발표한다. 파키스탄의 군대는 행정권 장악을 멈출 준비가 되지 않은 것 이다.

군의 위헌적 역할에 저항하기 위해 다양한 시대에 다양한 대중 운동이 일어났으며 시민 사회와 정당, 인권 옹호자,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활동가들이 진정한 민주주의를 보장하고자 최전선에 나섰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군사 및 국가 안보에 대한 일반적인 서술과 신화로 인해 정치권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없었다. 사실 군대는 파키스탄의 영토와 이데올로기 수호를 위한 구조자로 자신들의 세력을 그럴듯하게 묘사했다. 또한 공교육 커리큘럼과 주류 미디어 (인쇄와 전자)는 물론이고 민간에서 회자되는 이야기들에는 군이 국가 구조 내에서 놀라운 일을 해내는 세력임을 증명하는 기술과 능력, 신성함에 대한 초자연적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대다수 젊은이들은 군사 관료들의 헌법 위반과 착취적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보다는 이들을 위해 날조된 특정 신화를 믿는 것이 현실이다. 심지어 인쇄 미디어를 포함한 전자 및 소셜 미디어는 군사 본부와 ISPR (Inter-Services Public Relation-미디어 관리를 위한 파키스탄 군대의 자회사)에 의해 직접 통제되고 있으며 TV 채널과 라디오,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대한 검열 자문을 발표한다.

현재 약 5,000명에 달하는 정치적으로 의견을 달리하는 사람들을 비롯한 언론인, 변호사, 활동가, 학자들이 기사와 블로그, 페이스북 페이지, 트위터, TV 채널, 항의 시위를 통해 “오 놀라워라”로 대변되는 군의 놀라운 행적들에 대한 이야기 및 위법 행위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다가 강제로 실종되었다. 마찬가지로 9,000개의 시민 사회 단체/ NGO의 등록이 취소되고 나머지는 군 정보기관의 엄격한 제한과 감시를 받고 있다. 분명히 파키스탄 군대는 독점에 도전할만한 모든 잠재적 비판과 반대의 근원을 차단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정치 체스 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과 동시에 군대는 부동산과 시멘트 제조, 통신, 은행, 보안 경비, 운송, 항공 사업을 통해 상업적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파키스탄 전체는 이제 지속 가능한 개발과 복지라는 명확한 의제를 가진 혁신적인 민주 국가로 부상하는 대신 경제와 사회의 군사화를 지향하는 요새 국가가 되었다.

아시아 지역의 시민 자유와 군사 독재의 역사를 살펴볼 때마다 광주 봉기 (1980년 5월 18일 – 27일)가 한국 민주화에 미치는 전례 없는 영향을 발견한다. 5 · 18운동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기간 동안 광주 시민들은 무자비한 군사 작전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정치적 운명을 결정할 권리 보호를 위해 단결과 헌신을 통해 열정적으로 저항했다. 2018년 광주를 방문했을 때 나는 특히 5 · 18운동의 역사적 자산/ 지점을 보존하기 위한 도시 전역의 다양한 기념물, 기념관, 공원, 도서관, 문서화 센터, 건물 및 공간을 보았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군사화 사회의 문제를 깨달을 수 있으며 민주주의와 인권을 존중해야 함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국에 있는 5 · 18 기념 재단은 평화, 인권, 민주주의의 본질을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 대륙에 전파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제 5월 18일을 유엔 지정 군사주의 및 권위주의 예방을 위한 세계의 날로 지정하고자 세계 시민 사회로부터 지원을 얻기 위한 서명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5월 18일 세계의 날 기념은 광주 봉기 운동가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원천이 될 뿐만 아니라 군사주의와 권위주의에 대한 감수성과 대응력을 만들어 낼 것으로 생각한다.